ss

베리드(Buried) - 그저 바라볼 수 밖에

2010. 12. 10. 08:59 Film Diary/Review



 
90분이란 시간을 사람 하나 겨우 누울 관 속에서 버텨내는 영화라니. 기대를 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없었던 작품이다. 개봉일에 바로 극장으로 달려가 감상했다. 평일 오후의 동네 멀티플렉스는 참으로 한산하다. 그덕에 <베리드>를 텅빈 극장에서 홀로 감상할 수 있었다.  

들어오던데로 이 지독한 작품은 철저하게 자신이 세운 규칙을 지켜낸다. 오프닝 크레딧에서부터 서서히 하강하던 이미지는 모든 준비를 마친 후 암전으로 돌입한다. 거친 숨소리와 몇번의 기침과 함께 라이언 레이놀즈의 일인극은 시작된다. 불가능하리라 예상했던 코르테스 감독의 과감한 실험은 클리셰로 범벅된 나태한 스릴러들을 가뿐히 뛰어넘을 충분한 탄력을 가진 동시에 제 상상력에 발목이 걸려 거창한 오프닝을 스스로 무너뜨리는 용두사미식 스릴러들의 비약한 상상력들 마저 비웃을 수 있는 연출력의 승리였다.


듣던데로 프레임 속에 등장하는 것이라곤 관속의 그것들이 전부다. 라이언 레이놀즈를 제외한 모든 배우들은 목소리로만 그에게 힘을 싣는다.관객의 몸을 간지럽히는 코르테스의 상상력은 라이언의 고통 위에서 빛을 발한다. 비영어권 연출자의 새로운 발견인 동시에 어느 평이한 배우의 새로운 전환점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사람 모두에게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야 할것 같다. 8년전에 조엘 슈마허와 콜린 파렐에게 보냈던 그 박수를 말이다.


영화에 대한 구차한 설명대신 극장관람을 신신당부하는게 옳은것 같다. 상상력과 울부짖음만으로 완성된 이 작품은 전개에 관한 사소한 이야기 하나 하나가  영화관람에 있어 큰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으니 말이다. 분명히 오랬동안 회자될 작품이다. 일전에 히치콕의 <로프>를 보면서도 굉장한 느낌을 받았었는데, 누군가의 표현처럼 히치콕을 관속에서 돌아눕게 만들 스릴러가 분명한것 같다. 제약으로 시작되는 극단적 스릴러의 새로운 지점  <베리드>는 강력히 추천할만한 영화다. 참고로 <닉 오브 타임>이나 <실제상황>과 같이 영화 속 시간과 현실의 시간이 물리적으로 함께하는 방식은 아니다. 그점이 다소 아쉽긴 하지만 원활한 진행을 위해 감독이 택한 방식이니 그저 감사히 바라볼 수 밖에...


 
영화를 보며 그토록 몸을 움직여본 적이 없다. 좌우로  앞뒤로 유독 내 몸의 자유를 확인해보는 움직임이 잦은 관람이었다. 아마 극장을 나서며 자신의 손을 슥슥 비벼보며 탁트인 거리의 풍경을 몇초간 바라보게 될것이다. 그리고 차디찬 공기속 내 입김도 특별하게 바라보게 될것이다.

내가 그랬던것 처럼.


* 영화의 엔딩 크레딧과 함께 이 노래가 흘러나온다. 참으로 지독한 감독이다. 이미 헐리웃에선 지속해서 러브콜을 날린다고 하니 조만간 그의 상상력을 다시 만날 수 있을것이다. 시나리오 작가의 경우는 atm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쓰고 있다던데 참 무서운 사람들이다.

* 엔딩 크레딧이 모두 올라간 후 2초 가량의 영상이 나온다. 봐도 그만 안봐도 그만이지만 ...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Copyright © ss All Rights Reserved | JB All In One Version 0.1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