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

이층의 악당 - 브라보 손재곤

2010. 11. 27. 14:55 Film Diary/Review


 

 

브라보! 웬만해선 간단한 후기조차 쓰지 않는 요즘 <이층의 악당>은 추천해 마땅할 귀한 손님이기에 이렇게 짧게나마 기록하고자 한다. 시간은 4년전으로 돌아간다. 막 대학에 들어갔을 무렵 학교가 끝나면 집이 아닌 극장으로 향하던 때가 있었다. 티끌만한 자유를 영화관람에 모두 퍼붓던 시절. 그냥 걸려있는 영화는 아무생각없이 보던 때가 있었다. 영화인의 이미지가 전무했던 최강희씨. 주역보단 조역이 어울리던 박용우씨. 난생 처음 보는 감독님의 이름. 허나 영화는 충격 그 자체였다. 물론 3년이 흘러 <차우>를 보며 그 기록이 깨지긴 했지만 극장에 앉아 그렇게 많은 웃음을 쏟아낸건 처음이었다.

 몇년의 시간이흘러도 극장을 나설때 마주했던 분위기를 기억하는 경우가 있다. 명확한 날자와 시간은 몰라도 적어도 그날의 온도와 풍경 정도는 그리게 해주는 영화들이 있다. 내겐 이런 것들이 인상적인 영화와 그냥 흥미로운 영화를 가르는 기준이다. <달콤 살벌한 연인>을 등지고 집으로 향하던 밤의 풍경과 온도가 아직도 선할걸 보면 이건 분명 충격이었나보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이층의 악당>은 그의 뜨거운 데뷔가 단순한 우연이 아니었음을 증명하기에 충분한 작품이란 거다. 답보도 아니다. 그의 유머는 인물의 입에서 몸 전체로 자연스럽게 확장됐다. 단순히 상황의 단편적인 나열 속에 재치있는 현대적 감각을 입히던 방식을 벗어나 이야기를 쌓고 사람을 그려 그 속에 자연스레 희극적 충돌을 끌어내는 발전을 이뤄냈다. 사실 <달콤 살벌한 연인>은 젊은이들이 열광할만한 재기넘치는 소품같았다. <이층의 악당>을 보고나니 <달콤 살벌한 연인>은 데뷔작이라는 한정된 무대에서 자신의 수많은 재주 중 한가지를 특화시킨것 뿐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충무로에서 가장 훌륭한 농담꾼이 되었지만 그의 재주는 단순히 3분마다 하나의 장치를 심어 관객을 어떻게든 움직여보겠다는 웃음의 강박에 집중하기 보단 이야기와 캐릭터의 완성도 속에 여유롭게 농을 이끄는, 이야기하는 재간꾼으로 확장되고 있다. 명확한 작가의식을 지닌 손재곤 감독님의 두번째 농담은 빈도를 줄이는 대신 농도를 높이는 방식이었다. 범죄와 추리소설에 관심이 많다던 그의 이야기는 비록 단순한 컨셉으로 시작되지만 분명한 기둥으로 작용된다. 이번 작품을 유심히 보면 말장난의 유희가 이야기를 삼켰던 전작에 비해 큰 틀안에서 배우를 현명하게 활용하며 줄기를 올곧게 이어가는 완성도를 보여준다. 이건 코미디 이외의 장르 역시 언제나 염두해두고 있다는 손감독에 대한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의 2번째 영화가 <달콤 살벌한 연인>만큼 웃기지 않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이건 원플러스 원 이나 금상첨화와 같이 눈물나게 고마운 부분이다. 독립적인 대사의 활용보단 웃음을 안정적으로 이끄는 방식이지만 여전히 그의 대사들은 살아쉼쉬고 있다. 대사만 떼어 놓고 보자면 어디에 내놓아도 빛날 수 있는 감각이다. 이번 작품에선 주인공들의 연령에 맞게 현실적인 느낌으로 정제시키긴 했지만 그의 타고난 재주가 어딜 가겠는가.



 물론 정신없이 웃어대긴 했지만 그의 첫번째 농담에는 위험한 부분이 많았다. 흐름에서 지나치게 도드라진 감성들은 관객들의 감각과 어긋날 경우 꽤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람들이 웃을순 있다해도 객석의 반은 웃고 반은 무덤덤할 경우 감독 입장에선 절반 이상의 실패로 받아들여진다. 이번 작품에서 사람들이 가장 환호하는 '지하실 시퀀스'에 대한 감독의 고민을 들었다. 이렇게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도 객석을 움직이지 못한다면 이것은 곧 재앙이기에 많은 고민을 했다고, 그의 딜레마는 다행히도 기적같은 코미디를 낳았지만 그의 진지한 고민을 듣고나니 이 사람 꽤나 여유롭게 웃음을 만지는 사람 같았다. 생각을 해보니 4년전에도 그랬고 어제도 그랬고 그의 유머는 강도 차이는 있을 수 있어도 100 % 에 가까운 명중률을 보여주고 있었다. 언제 사람들을 웃기고 그 호흡은 어느 정도로 조절할지 명확히 꿰차고 있는 여유가 문뜩 느껴졌다. 객석의 반응이 그랬다.

 이젠 마지막이다. 그의 수 많은 장점들중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범죄의 중심에서 이야기를 최고의 극적 분위기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도 웃음기를 어딘가에 유지한다는 것이다. 즐거움을 절대 놓치지 않고 쌓여가는 묘한 긴장감. 앞에서 이야기했던 장르적 확장 가능성도 여기서 기인한다. 물론 7:3에 가까운 분명한 코미디이지만 이 사람 충분히 스릴러적 요소와 코미디의 균형을 맞추는 재주가 있다. 


  요 몇년 기억할만한 명연이 없어 영 아쉬웠는데 배우 한석규의 진가를 2시간 동안 실컷 맛볼 수 있다. 정말 배가 터져 죽을 정도로 실컷. 연출도 대본도 연기도 모든게 훌륭한 작품이었다. 고맙고 반가워서 이렇게 정신없이 생각들을 나열해봤다. 만약 이 글을 보고 단 한명이라도 극장에 갈 마음이 생긴다면 손감독님에게 받은 2시간의 즐거움을 조금이나마 되갚는 일이 되겠지.

어제 영화를 보고 집으로 돌아오는 새벽 2시. 이영음에는 손감독님이 나왔다. 역시나 재치있는 사람이었다. 다른 이야기들은 잘 기억나진 않지만 <매그놀리아>에 대한 언급은 강렬하게 다가왔다. 감독님이 아닌 이주연 아나운서의 입에서 먼저 나온 이야기지만 <이층의 악당> 후반부 주,조연 모든 배우의 같은 시각 다른 일상을 비추는 짤막한 시퀀스는 <매그놀리아>의 이것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코미디를 연출하는 사람으로서 조심스러운 부분이기에 여기저기 이야기하고 다니지는 않지만 이주연 아나운서의 예리한 질문에 시인하셨다. 극장에 앉아 같은 예상을 했던 사람으로서 뭔가 반가운 이야기였다. 유머러스한 말 속에 언뜻 비치는 손감독님의 작가적 마인드는 그의 차기작을 기대하게 만든다. 다른 장르가 되도 충분히 능력을 보여줄 사람같다. 기대해본다. 만약 그가 3번째 영화로 코미디를 들고 온다면 난 무슨 수를 써서라도 시사회에서 그 작품을 볼것이다. 믿을 만한 재간꾼의 코미디 영화를 즐기기엔 돈 한푼 안내고 가벼운 마음으로 극장을 찾은 이들이 가득한 시사회장이 최적의 장소이니.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Copyright © ss All Rights Reserved | JB All In One Version 0.1 Designed by CMSFactory.NET